티스토리 뷰
목차
실업급여를 신청하면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가장 궁금한 부분 중 하나죠.
2025년 기준으로 실업급여 수급액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계산 공식부터 실제 예시
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1. 실업급여 수급액 계산 공식
- 기본 공식: 1일 급여액 = 평균임금 × 60%
- 하한액: 2025년 기준 1일 77,120원
- 상한액: 2025년 기준 1일 73,000원
- 수급 기간: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나이에 따라 최소 120일 ~ 최대 270일까지 지급
2. 평균임금이란?
퇴사 전 3개월간의 총 급여(세전)를 근무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상여금, 식대, 교통비 등 포함 여부는 근로계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실업급여 수급액 계산 예시
구분 | 월급 (세전) | 평균임금 | 1일 실업급여액 | 수급기간 | 예상 총 수급액 |
A직장인 | 250만원 | 83,333원 | 50,000원 | 120일 | 약 600만원 |
B직장인 | 400만원 | 133,333원 | 상한액 77,120원 | 180일 | 약 1,388만원 |
C직장인 | 170만원 | 56,666원 | 하한액 73,000원 | 150일 | 약 1,095만원 |
4. 수급기간 산정 기준
-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 + 연령 조건
- 예: 30대 직장인, 고용보험 가입 1년 이상 → 수급기간 120일
- 50세 이상 또는 10년 이상 가입자 → 최대 270일
5. 온라인 수급액 모의 계산기 이용하기
고용보험 홈페이지의 [모의 계산기]를 통해 본인의 예상 수급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실제 지급액은 구직활동 인정 여부와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6. 마무리
실업급여 수급액은 단순히 월급의 절반이 아니라, 평균임금과 상·하한액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계산 공식과 수급 기간을 정확히 이해하고, 모의 계산기를 적극 활용해 준비하세요.
2025년 실업급여, 나에게 얼마나 나올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