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운전면허 갱신을 놓치면 **과태료 부과**, 심할 경우 **면허 취소**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과태료가 부과되는지, 금액과 법적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아래에서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1. 갱신 기간과 과태료 기준
- 갱신은 **갱신 주기 만료 연도 내(1월 1일~12월 31일)**에 해야 합니다.
- 이 기간을 벗어나면 **1종: 30,000원**, **2종: 20,000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단, **70세 이상 2종**은 **30,000원**입니다.
2. 과태료 부과 흐름
- 갱신 기간 종료 다음 날부터 과태료 대상이 됩니다.
- 납부 기간을 넘기면 **5% 가산금** + 매월 **1.2% 중가산금**, 최대 **77%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1년이 지나도록 갱신하지 않으면 **1종·70세 이상 2종은 자동 면허 취소**, **2종은 취소 없이 과태료만 계속 증가**합니다.
3. 과태료 금액 한눈에
면허 종류 | 기본 과태료 | 70세 이상 | 1년 초과 시 |
1종 면허 | 30,000원 | 30,000원 | 면허 취소 |
2종 면허 | 20,000원 | 30,000원 | 면허 유지 (과태료만) |
4. 면허 취소 관련 규정
1년 넘게 갱신하지 않으면 해당 면허는 **자동 취소**됩니다. 이후 운전은 **무면허**로 간주되어, 범칙금·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5. 과태료 미납 시 추가 불이익
- 미납 과태료는 **가산금**으로 계속 불어나며, 최대 **77%**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index=8}
- 장기 미납은 **채권 압류**, **신용불량 등록** 등의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6. 과태료 납부 & 갱신 절차
- 도로교통공단 또는 경찰서에 방문하여 **신체검사 + 갱신 신청** 진행
- 과태료 + 갱신 수수료 납부
- 면허 갱신 후 새 면허 발급
※ 온라인 갱신은 **갱신 기간 내에만 가능**하므로 과태료 부과 이후에는 **오프라인 방문이 필수**입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FAQ)
- Q: 하루만 늦어도 과태료가 부과되나요?
A: 네, 갱신 기간이 지나면 **즉시 과태료 대상**이 됩니다. - Q: 2종 면허인데 1년 지나도 갱신 가능한가요?
A: 네, 갱신은 가능하지만 **과태료와 가산금은 누적됩니다**. - Q: 과태료 내고 1종 면허는 다시 받을 수 있나요?
A: **1년 이내 갱신** 시에는 가능하지만, **1년 넘으면 면허 취소**되어 재응시해야 합니다.
8. 결론
운전면허는 **갱신 기간 내**에 꼭 처리해야 과태료와 면허 취소를 피할 수 있습니다.
미뤄진 경우 오프라인 방문이 필요하며, 납부 지연 시 **가산금 및 법적 불이익**이 동반됩니다.
조속히 갱신 일정을 확인하고 절차를 진행하시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