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실업급여 부지급 사유 및 이의신청 방법

    실업급여를 신청했는데 ‘부지급 결정’을 받으셨나요?

    실망하기 전에 그 이유를 파악하고, 이의신청 절차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실업급여 부지급 사유

    이의신청 방법

    을 안내드립니다.

    1. 실업급여 부지급 결정이란?

    고용센터가 신청자의 자격을 심사한 결과, 수급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판단할 경우 실업급여를 지급하지 않는 결정입니다.

    2. 주요 부지급 사유

    • 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미만
    • 자발적 퇴사이며, 정당한 이직 사유가 인정되지 않음
    • 구직활동 미흡 또는 실업인정 요건 미충족
    • 실업상태가 아님 (취업사실 있음, 겸직, 소득 발생 등)
    • 실업급여 수급 중 해외 출국 또는 거짓 진술 등 부정수급 시도

    📌 자주 발생하는 사례

    • 이직확인서상 퇴사 사유가 ‘자발적 퇴사’로 기재됨
    •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0일보다 2~3일 부족
    • 1차 실업인정일에 구직활동 내역 미제출

    3. 부지급 결정문 확인 방법

    •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 마이페이지 → 실업급여 신청 이력
    • ‘부지급 결정 통보서’에서 사유 명확히 확인
    • 문서 하단에 이의신청 가능 여부 및 기한 명시됨

    실업급여 부지급 사유 및 이의신청 방법

    4. 이의신청 절차

    1. 결정 통보일로부터 14일 이내 고용센터에 서면 이의신청
    2. 필요 시 증빙자료 추가 제출 (진단서, 진술서 등)
    3. 고용노동부 이의심사위원회에서 재심의
    4. 결과는 문자 또는 우편으로 통보

    5. 이의신청서 작성 팁

    • 정확한 날짜와 사건 경위를 명확히 기술
    • 본인이 퇴사할 수밖에 없었던 정당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설명
    • 증빙자료를 반드시 첨부 (진단서, 녹취록, 진술서 등)

    6. 이의신청 이후 결과는?

    •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지면 지급 유예 상태였던 실업급여를 소급 지급
    • 기각되더라도 행정심판 또는 행정소송 절차 가능 (변호사 상담 추천)

    7. 마무리

    실업급여가 부지급되더라도 끝이 아닙니다.

    자신의 상황이 정당한 이직 사유에 해당하거나, 오해에서 비롯된 결정이라면 적극적으로 이의신청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포기하지 않는 것! 실업급여 부지급 시에도 권리를 지켜보세요.